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jsp
- 웹개발
- 부정 선택자
- optgroup
- HTML Templating
- ES6
- 깃헙
- 복합 선택자
- vmax
- EDWITH
- 다시볼 것
- 부스트코스
- 즐거운자바
- 속성 선택자
- JavaScript
- 서블릿
- 소스트리
- 가상클래스 선택자
- 보충필요
- 다시보자
- 김성박
- datalist
- 가상요소 선택자
- vmin
- 상속
- nth-child()
- 자바
- spring
- 즐거운 자바
- nth-of-type()
Archives
- Today
- Total
기억의 DataBase
JSP 본문
모든 JSP는 서블릿으로 바뀌어서 실행된다(JSP 자체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
> 아래의 기호들은 서블릿으로 변환 되었을 때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려주는 기호
-
지시자 > WAS가 받아서 처리
<%@
page language="java" : 이론적으로는 다른 언어도 가능하다, 실제로는 자바로만 작성됨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response 타입
pageEncoding="UTF-8" : JSP 파일의 형식
%>
-
스크립트릿(Java Code)
<%
int total = 0;
for(int i = 0; i<=10; i++){
total = total+i;
}
%>
-
표현식(out.print())
<%= total%>
-
서블릿과의 비교
-
JSP(Java Server Page)의 등장배경
ASP에 대항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출력되는 HTML 코드가 많아지면
서블릿에서는 out.print()와 같은 코드가 많아지므로, 이러한 비효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등장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rect와 forward (0) | 2019.02.19 |
---|---|
JSP 문법과 내장객체 (0) | 2019.02.18 |
JSP의 라이프사이클 (0) | 2019.02.18 |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에 대한 이해 (0) | 2019.01.31 |
Servlet (0) | 2019.01.3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