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서블릿
- 즐거운 자바
- vmax
- 부스트코스
- EDWITH
- datalist
- HTML Templating
- 복합 선택자
- 보충필요
- jsp
- 웹개발
- 다시볼 것
- 깃헙
- nth-of-type()
- 자바
- 다시보자
- optgroup
- 속성 선택자
- 상속
- 소스트리
- 부정 선택자
- spring
- JavaScript
- nth-child()
- vmin
- 즐거운자바
- ES6
- 김성박
- 가상클래스 선택자
- 가상요소 선택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iv (1)
기억의 DataBas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RmId/btqCrkPekau/7O58kLCm28XbBVoOEHoj8k/img.png)
division(분할, 구분)의 약자로 구역을 나누는 block 요소다. (막 쓰기 좋다.) 문서, 기사라는 단어 뜻처럼 컨텐츠 구역을 의미하며 주로 독립성(단독 재사용 가능) 있는 컨텐츠에 사용된다. 제목 요소(h1, h2 등)를 포함하고 있으며 컨텐츠 등의 집합을 포함할 때 사용된다. 사실 3가지 모두 퉁쳐서 로 작성해도 눈에 보이는 차이는 없다. (기기마다 차이가 있으려나...?) html은 semantic(의미론)하게 작성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더 공부하다보니 알게 된 위 문장의 의미는 개발자와 검색엔진 등을 위해 각 요소들을 의미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보이는 내용만 생각하면 , , 만으로 대부분의 text 관련 html을 작성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각 text..
HTML
2020. 3. 3. 22:08